본문 바로가기
책과 함께라면

199. 애쓰지 않고 편안하게 - 김수현

by 2004^^ 2022. 8. 4.

최근 현장 일로 인간관계가 무엇보다 힘들어졌네요.

새로운 사람들을 만난다는 게 

언제부턴가 스트레스가 되어버렸네요.

 

호인과 호구의 차이

이 글을 처음부터 끝까지 발췌하니 잘 읽어 보세요.


아무리 좋은 사람이 되려 애써도

모든 사람이 나를 좋아할 수는 없다.

 

호인과 호구의 차이

와튼스쿨 조직심리학 교수인 애덤 그랜트의

[기브 앤 테이크]라는 책에서는

호혜의 원칙에 관한 설명이 나온다.

사람마다 상대에게 주거나 받으려는 양에 차이가 있는데

애덤 그랜트는 주는 것보다 더 많이 받으려는 테이커(taker)

받는 만큼만 주고, 주는 만큼만 받는 매처(matcher)

다른 사람의 이익을 생각하고

조건 없이 먼저 베푸는 기버(giver)로 성향을 구분했다.

 

연구에 따르면,

성공 사다리의 맨 아래에서 가장 가난하고 힘들게 사는 건 기버다.

남을 돕다가 정작 자신의 일을 하지 못해 생산성이 낮거나,

만만한 사람으로 여겨져 이용당하는데,

테이커에 비해 사기 등 범죄 피해자가 될 위험도

두 배나 높다고 한다.

다 퍼주다가 망하는 거다.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은 가장 성공한 이들 역시 기버라는 거였다.

 

기버는 좋은 평판과 사회적 기반 위에서

성공을 극대화하고 가속화할 수 있었고

다른 사람들도 기버의 성공을 기뻐하기에

이들의 성공에는 지속성이 있었다.

 

그럼 성공한 호인형 기버는 어떤게 달랐을까?

그건 바로 테이커를 상종하지 않는 것.

그리고 자신을 돌보는 걸 잊지 않는 것이었다.

 

호구형 기버는 스스로를 돌보는 것을 어려워했고

상대가 테이커라 할지라도 관계를 지속하며 자신을 소진시켰다.

 

반면 호인형 기버는 누구에게나 먼저 베풀지만,

다시 돌아오지 않고 계속 받기만을 원하는 테이커와는 거리를 둔다.

 

그렇게 되면 매처와 기버만 남게 되니

이 안에서는 상호 호혜적인 관계가 가능하고,

상생할 기회도 많아진다.

사람들은 종종 착하게 살면 손해 볼 거라 걱정하지만,

베푸는 행위 자체는 인생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지 않는다.

착하다고 손해를 보는 게 아니라,

아무에게나 착했기에 손해를 본 것이다.

 

물론 누구가를 성급하게 테이커로 확정해서는 안 되고,

상호 관계의 입출금을 시시각각 분석할 수도 없다.

하지만 착취적인 관계를 지속하다,

"역시 착하게 살면 안 돼"라는 잘못된 결론을 내려서도 안 된다.

 

세상은 착한 사람들만 사는 디즈니 월드도 아니고,

그렇다고 악당들이 넘치는 고담 시티도 아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지나친 경계심도, 분별없는 이타심도 아닌

세상의 양면을 함께 바라보는 힘이자 테이커를 걸러낼 수 있는 

안목일 뿐이다.

 

내가 가진 걸 뺏기지 않기 위해서가 아니라

마음껏 좋은 사람으로 살기 위하여

착취적인 관계가 지속된다면 거리를 두자.

기꺼이 당신을 만난 것을 행운이게 하라.

단, 그럴자격 있는 이들에게

 

적어도 쓰리아웃은 하고 체인지합시다

가족이라 해도 인연을 정리하는 게 해결책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경증의 환자에게 극약을 처방할 수는 없고,

물건에 흠집이 생겼다고 전부 새로 살 수는 없듯이

갈등과 서운함이 생겼다고 모든 관계를 정리할 수는 없다.

 

이때 필요한 게 시간을 두는 일이다.

...

때때로 자연스럽게 멀어지는 관계도 있겠지만

관계를 끊어내지 않고 잠시 거리를 두며 기다린다면

관계를 잃지 않아서 다행이라고 말할 순간이 올 수도 있다.

그러니 시간을 두고, 관계의 변화를 바라보자.

당장 원하는 답은 아닐지라도,

지킬 수 있는 관계는 지키는 게 좋다.

그들이 저급하게 가도

우리는 품위 있게 가자.

- 미셸 오바마


집사람과 이야기하다 우연히 들은 기버, 매처, 테이커 이야기였는데요.

애덤 그랜트의 기브 앤 테이크 읽어 봐야겠습니다.

 

일이 어려워 손을 대지 않는 것이 아니라, 손을 대지 않으니 일이 어려워 진다.

댓글